금융,재테크
예금 금리 비교, 어디에 넣어야 이자가 가장 많을까?
선아언니
2025. 10. 9. 16:47
1. 예금 금리, 왜 계속 바뀔까?
예금 금리는 기준금리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됩니다.
-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 예금 금리도 상승
- 반대로 기준금리가 내리면 금리도 함께 하락
👉 즉, 예금 금리는 경제 흐름의 온도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고금리 시대, 어디에 넣을까?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금액을 맡겨도 이자 차이가 크게 납니다.
예를 들어, 1년 만기 5% 예금과 3.5% 예금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치금금리1년 뒤 이자(세후 약 15.4% 공제)
10,000,000원 | 5.0% | 약 425,000원 |
10,000,000원 | 3.5% | 약 297,500원 |
👉 단순히 금리 1.5% 차이만으로도 약 13만 원의 이자 차이가 납니다.
3. 금리 비교할 때 꼭 봐야 할 3가지
- 기본금리 vs 우대금리
- 기본금리는 누구나 받는 금리
- 우대금리는 조건 충족 시 추가 적용 (예: 급여이체, 자동이체, 카드 실적 등)
- 세전 vs 세후 이자
- 대부분 광고 금리는 세전 기준
- 실제 수령액은 15.4% 세금이 공제된 세후 금리를 계산해야 함
- 복리 여부
- 단리: 단순 계산
- 복리: 이자가 원금에 합쳐져 다음 이자를 계산 → 장기 예치 시 훨씬 유리
4. 금리 높은 은행 찾는 방법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눈에’ 사이트
- 전국 은행 예금 금리 실시간 비교 가능
- 인터넷전문은행 활용
- 케이뱅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등은 4%대 금리를 자주 제공
- 신협·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
- 조건부지만, 1금융권보다 금리가 높은 경우가 많음
👉 단, 2금융권은 예금자보호(최대 5천만 원) 범위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5. 예금 이자 극대화 꿀팁
- 짧은 만기 예금 여러 개 나누기
금리 변동 시, 만기마다 재예치로 유연한 대응 가능 - 급여이체 우대금리 활용
월급 통장으로 지정하면 0.3~0.5% 추가 우대 - 자동이체 조건 채우기
공과금·카드대금 자동이체 등록만으로 우대금리 적용되는 경우 많음 - 이벤트성 특판 예금 노리기
한시적으로 5% 이상 제공하는 상품이 종종 등장하니, 은행 앱 공지 확인 필수
6. 금리 외에도 중요한 포인트
- 예금자보호제도: 금융회사별 1인당 원금+이자 합산 1억원까지 보호(2025.9.1 시행)
- 이자 지급 방식: 만기지급형 vs 월이자지급형 중 선택
- 조기 해지 시 불이익: 중도 해지 금리는 통상 1% 미만으로 낮음
👉 예금은 ‘안정성 + 유동성’을 중심으로, 내 상황에 맞게 설계해야 합니다.
✨ 정리
예금은 가장 기본적인 금융상품이지만, 금리 차이만 잘 살펴도 수익은 크게 달라집니다.
- 은행별 금리 비교는 필수
- 우대조건, 세후 이자, 예금자보호 여부 확인
- 이벤트성 특판 예금도 적극 활용
👉 오늘 10분만 투자해 금리 비교를 해본다면, 그게 바로 진짜 재테크의 시작입니다.
👉 선아언니 꿀팁에서 또 만나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