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예·적금 금리 올리는 숨은 방법 💰
    금융,재테크 2025. 8. 25. 07:05

     

    금리가 조금씩 오르내리면서, 많은 분들이 안정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예·적금을 다시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만으로는 높은 이자를 얻기 어렵죠.
    알아두면 유용한 ‘숨은 방법’들을 활용하면 같은 금액을 넣어도 더 높은 금리를 챙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은행이나 금융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우대 금리 조건활용 꿀팁을 정리해드릴게요.

     

    1. 자동이체 조건 활용하기

    대부분의 은행은 공과금·통신비 자동이체를 걸어두면 추가 금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월 2건 이상의 자동이체 실적만 있어도 연 0.1~0.3%p 우대금리를 얹어주는 상품이 많습니다.

    👉 방법

    • 휴대폰 요금, 전기·가스요금 등을 자동이체 등록
    • 꾸준히 납부만 해도 금리 혜택 적용

     

    2. 급여이체 또는 연금 수령 계좌 등록

    은행 입장에서는 고객의 주거래 계좌가 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급여 이체 계좌연금 수령 계좌로 등록하면 금리 우대 조건이 붙습니다.

    • 월 1회 이상 급여 이체 시 우대금리 적용
    • 국민연금, 퇴직연금, 연금저축 수령도 동일하게 인정

    👉 직장인이라면 급여 통장을 예·적금 가입 은행으로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3. 카드 사용 실적 쌓기

    은행과 카드사는 보통 그룹사로 묶여 있어서, 해당 카드 사용 실적을 충족하면 예·적금 금리를 올려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월 30만~50만 원 이상 카드 사용 시 금리 추가
    • 체크카드 실적도 인정되는 경우가 있으니 꼭 확인

    👉 생활비를 카드로 결제하면서 자연스럽게 조건을 채울 수 있습니다.

     

    4. 모바일·비대면 가입 혜택

    요즘은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뱅킹을 통해 비대면 가입을 하면 특별 우대금리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모바일 전용 예금, 적금은 금리가 더 높은 경우가 많음
    • 영업점 방문보다 앱 가입이 더 유리한 경우 다수

    👉 신규 가입 시에는 반드시 ‘모바일 전용 상품’도 비교해 보세요.

     

    5. CMA 계좌·RP형 상품과 병행하기

    단순 예·적금 외에도, CMA 계좌RP형 단기상품을 함께 활용하면 이자를 굴리는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예·적금 만기 전까지 여윳돈은 CMA 계좌에 보관 → 하루 단위 이자 발생
    • 만기일 전후에 잠깐 묶일 돈은 RP형 단기 상품 활용

    👉 자투리 돈도 쉬지 않고 이자를 불려주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6. 우대금리 조건 꼼꼼히 확인하기

    상품마다 금리 우대 조건이 겹치기도 하고 상한선이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조건을 다 채워도 최대 우대금리가 0.5%p라면 그 이상은 받을 수 없습니다.

    👉 꼭 체크할 것

    •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구분
    • 조건별 가중치 확인
    • 총 우대금리 최대치 확인

     

    7. 금리 비교 플랫폼 활용하기

    은행마다 상품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 사이트를 통해 금리를 한눈에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한눈에’ 서비스
    • 은행연합회 공시 시스템
    • 앱 기반 금리 비교 플랫폼

    👉 여러 은행의 조건을 비교한 뒤 본인 상황에 맞는 최적의 상품을 고르는 게 중요합니다.

     

    마무리

    예·적금은 단순히 돈을 맡겨두는 것 같지만, 우대 조건을 얼마나 잘 챙기느냐에 따라 실제 수익이 달라집니다.
    자동이체, 급여이체, 카드 사용, 모바일 가입 같은 작은 습관만 바꿔도 금리를 0.5~1%p 더 높일 수 있어요.

    오늘 알려드린 꿀팁을 참고해서, 선아님도 같은 돈으로 더 큰 이자를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

    ✨ 선아언니 꿀팁에서 또 만나요 😊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