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돈 안 새는 월급 관리 루틴 만들기
    금융,재테크 2025. 11. 13. 08:00

    월급날만 기다렸는데,
    며칠 지나지도 않아 “왜 벌써 통장이 비었지?”
    한 번쯤 다들 해본 생각이죠 😅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이 새지 않게 관리하는 루틴’**이 진짜 재테크의 핵심이에요.

    오늘은 단 한 번 설정해두면
    자동으로 돈이 모이는, 현실적인 월급 관리 루틴을 알려드릴게요 💡

     

    🪙 1️⃣ 월급날 +3일, ‘루틴 데이’를 정하세요

    월급이 들어오는 날은
    이체도 많고 카드 결제도 몰려 있어서 정신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월급일에서 **3일 뒤를 ‘루틴 데이’**로 정했어요.
    이 날은 오롯이 내 통장을 점검하는 시간이에요.

    💬 예:
    월급 25일 → 루틴 데이 28일
    👉 자동이체 점검 + 저축 확인 + 소비 예산 세우기

    ‘한 달에 단 하루만이라도 내 돈을 직접 확인하는 루틴’이
    가장 확실한 절약 습관이 됩니다.

     

    💳 2️⃣ 고정비부터 자동 분리하기

    가장 먼저 나가는 고정비(월세, 보험료, 공과금)는
    따로 빼두는 게 원칙!

    월급 통장에서
    생활비 통장으로 자동이체 설정을 걸어두면
    “고정비는 이미 빠져나갔다”는 안도감이 생겨요.

    💡 팁:
    통장을 이렇게 분리해보세요 👇

    • 월급 통장 : 돈이 들어오는 통장
    • 고정비 통장 : 공과금·보험·대출
    • 생활비 통장 : 식비·교통비
    • 저축 통장 : 미래 자금, 비상금

    이 구조만 만들어도
    “돈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눈에 보입니다.

     

    📆 3️⃣ 카드 결제일은 월급일 +5일로

    카드 결제일이 월급 전후로 섞여 있으면
    수입과 지출이 꼬이게 돼요.

    👉 해결법은 간단해요.
    결제일을 월급일 +5일로 통일하세요.

    예를 들어,
    월급이 25일이라면 카드 결제일을 30일로 지정!
    이렇게 하면 월급 들어오고 → 고정비 빠지고 → 카드값 정리
    이 순서가 딱 맞아떨어집니다.

    💬 이 리듬만 잡혀도 ‘통장 비는 현상’이 거의 사라져요.

     

    💸 4️⃣ 남은 금액은 ‘파킹통장 자동이체’

    고정비·생활비를 제외하고 남은 금액은
    그냥 두지 말고 **파킹통장(단기 이자 통장)**으로 옮겨두세요.

    요즘은 연 4%대 금리도 많아서
    잠깐 맡겨두는 돈에도 이자가 붙어요.

    💡 예: 월급 250만 원 → 고정비 100만 원, 생활비 100만 원, 남는 50만 원 → 파킹통장 자동이체

    이렇게 해두면
    “남는 돈”이 아니라 “자라는 돈”이 됩니다 🌱

     

    🧾 5️⃣ 한 달 예산표, 어렵게 말고 ‘세 칸’만

    많은 분들이 예산표 만들기 귀찮다고 하시지만
    사실 딱 세 칸이면 충분해요.

    항목예산실제 지출
    생활비 100만 원 98만 원
    여가·식사 20만 원 19만 원
    기타(충동구매 등) 10만 원 8만 원

    이렇게 한눈에 볼 수 있게만 해도
    ‘내가 어디에 돈을 쓰는지’ 감이 잡힙니다.
    그리고 그게 다음 달 절약의 기준이 돼요.

     

    🌿 마무리하며

    돈 관리는 복잡한 엑셀이나 어려운 재테크가 아니라
    **“내 돈의 흐름을 한 번이라도 직접 확인하는 습관”**에서 시작돼요.

    월급이 들어올 때마다
    한 번의 루틴으로 ‘고정비 → 생활비 → 저축’을 정리하면
    통장은 점점 깔끔해지고, 마음도 여유로워집니다.

    오늘부터 ‘루틴 데이’ 만들어보세요.
    돈이 나가는 구조가 바뀌면,
    인생의 흐름도 함께 달라집니다 💛

    선아언니 꿀팁에서 또 만나요 😊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