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소비 계획표 만들기한 달 예산 세우는 가장 쉬운 방법
    금융,재테크 2025. 11. 14. 08:00

    “이번 달엔 꼭 절약해야지!”
    다짐은 했는데 막상 며칠 지나면
    어디에 얼마나 썼는지 기억도 안 나고, 통장은 텅…😅

    사실 예산 관리가 어려운 게 아니라
    너무 어렵게 만들려고 해서 실패하는 거예요.
    오늘은 초보자도 단 10분이면 만들 수 있는
    ‘초간단 소비 계획표 + 한 달 예산 세우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1️⃣ 예산은 ‘총액 → 3칸’으로만 나누기

    예산표를 만들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바로
    항목을 너무 촘촘하게 나누는 거예요.

    식비, 외식비, 카페, 간식, 교통, 쇼핑, 구독, 관리비…
    이렇게 적으면 만드는 것만으로도 지칩니다.

    그래서 저는 딱 3칸만 씁니다.

    항목예산비고
    생활비 80만 원 식비·카페·교통비 모두 포함
    여가·식사 20만 원 외식·데이트·취미
    기타(충동구매) 10만 원 갑자기 필요한 소비

    👉 이렇게 나누면
    예산을 지키는 게 훨~씬 쉬워져요.

     

    📌 2️⃣ 고정비는 예산표에서 ‘제외’하세요

    예산표는 변동비(매달 다르게 쓰는 돈) 관리에만 사용해요.

    월세, 보험료, 공과금, 대출처럼
    이미 정해진 고정비는 예산표에 넣지 않습니다.

    왜냐면 고정비가 섞이는 순간
    “내가 진짜 얼마를 쓰는지” 감이 흐려지거든요.

    ✔ 고정비는 따로
    ✔ 예산표는 변동비만

    이 원칙만 지켜도 지출 파악이 쉬워져요.

     

    📌 3️⃣ 예산 금액은 ‘지난달 지출’을 그대로 가져오기

    예산을 새로 세우려고 할 때
    많은 분들이 무조건 적게 잡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현실 예산은
    지난달 내가 실제로 쓴 금액에서 시작해야 해요.

    💬 예:
    지난달 생활비 82만 원 → 이번 달 생활비 예산 80만 원
    지난달 여가비 23만 원 → 이번 달 여가 예산 20만 원

    이렇게 ‘현실적으로 줄일 수 있는 만큼만’ 줄여야
    예산 유지가 가능합니다.

     

    📌 4️⃣ 소비 계획표는 딱 1장!

    예산표는 복잡하면 오래 못 가요.

    한장에 이렇게만 기록해보세요 👇

    • 이번 달 총 예산
    • 생활비 예산 / 실제 지출
    • 여가비 예산 / 실제 지출
    • 기타 예산 / 실제 지출
    • 당월 절약한 금액

    딱 이 정도만 적어도
    ‘어디에서 돈이 새는지’ 바로 보입니다.

     

    📌 5️⃣ 체크는 한 달에 단 3번만

    매일 기록하려면 3일 만에 포기해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합니다.

    ✔ 월초(1일): 예산 설정
    ✔ 월중(15일): 절반 점검
    ✔ 월말(30일): 총정리

    이렇게 3번만 체크해도
    이번 달 소비 흐름이 한눈에 보이고,
    다음 달 예산 조정까지 깔끔하게 됩니다.

     

    🌿 마무리하며

    예산 관리의 핵심은
    복잡한 가계부가 아니라
    **‘돈의 흐름을 직접 확인하는 습관’**이에요.

    딱 3칸 예산표,
    월 3번 점검,
    그리고 한 장의 소비 계획표.

    이 세 가지만 지켜도
    쓸 돈은 줄고, 남는 돈은 쌓입니다.

    오늘 바로 소비 계획표 하나 만들어보세요.
    다음 달의 지갑이 훨씬 가벼워질 거예요 💛

    선아언니 꿀팁에서 또 만나요 😊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