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내 돈 어디로 새는지 한눈에 보이는 ‘지출점검 루틴’
    금융,재테크 2025. 11. 22. 20:00

    월급은 그대로인데
    통장은 점점 가벼워지는 느낌…
    사실 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 대부분은
    **‘돈이 어디로 새는지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이에요.

    오늘은 딱 10분만 투자하면
    내 돈의 흐름이 한눈에 보이고
    다음 달 지출까지 바로 줄어드는
    지출점검 루틴을 알려드릴게요!

     

    🧾 1️⃣ 첫 단계: “내가 쓰는 고정비” 정확히 적기

    고정비는 절대 적게 느껴져요.
    실제 금액은 훨씬 더 큽니다.

    ✔ 통신비
    ✔ 구독 서비스
    ✔ 보험료
    ✔ 대출
    ✔ 교육비
    ✔ 관리비

    이걸 모두 한 줄에 적어서 합계를 내보세요.
    많은 분들이 여기서 “헉…?” 하고 바로 놀라요.

    👉 고정비 합계가 월급의 50% 넘으면
    지출 감소가 아니라 구조 조정이 필요합니다.

     

    🥤 2️⃣ 두 번째 단계: ‘반복되는 소비’ 따로 분리하기

    배달, 카페, 간식, 택시, OTT 추가결제…
    총액으로 보면 아주 적어 보이지만
    한 달 합쳐 보면 고정비만큼 많아요.

    ✔ 배달 하루 1회 → 한 달 20~30만 원
    ✔ 카페 주 3회 → 한 달 5~6만 원
    ✔ 편의점 소액 결제 → 한 달 3~7만 원

    👉 이걸 ‘총액’이 아니라
    횟수 중심으로 기록해보세요.

    쓰는 패턴이 딱 보입니다.

     

    💳 3️⃣ 세 번째 단계: “카드별 지출” 따로 보기

    많은 분들이 월 지출을
    카드 한 장 기준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장에 나눠져 있어 총액을 모르고 써요.

    ✔ 주사용 카드 1
    ✔ 서브 카드 2
    ✔ 체크카드 사용
    ✔ 간편결제(카카오·네이버)

    이렇게 흩어져 있으면
    자기 지출을 파악할 수가 없어요.

    👉 해결법은 단 하나
    주력카드 1장으로 몰기 + 나머지는 비상용

     

    📦 4️⃣ 네 번째 단계: “지출을 3박스”로 재정렬

    나의 지출을 이렇게 세 칸으로 나눠보세요👇

    1. 필수 지출
      – 고정비 + 생활 최소비용
    2. 선택 지출
      – 외식, 쇼핑, 여가 등
    3. 낭비 지출
      – 충동구매, 불필요 구독, 중복 서비스

    이 3박스로 나누는 순간
    어디서 줄여야 할지가 명확해져요.

    ✔ 필수는 유지
    ✔ 선택은 조절
    ✔ 낭비는 바로 제거
    이 공식이면 절약 스트레스도 없습니다.

     

    📉 5️⃣ 마지막 단계: ‘하루 지출 상한선’ 설정

    예산을 한 달 단위로 잡으면
    도중에 무너지고 실패합니다.

    👉 하루 단위로 예산을 쪼개는 것
    예: 한 달 변동비 90만 원 → 하루 3만 원
    이 기준이 생기면
    지출을 통제하는 힘이 확 생겨요.

    ✔ 어제보다 덜 쓰기
    ✔ 오늘 남은 금액은 파킹통장으로 이동

    이 루틴만 2주만 해봐도
    체감이 확 달라집니다.

     

    🌿 마무리하며

    지출점검 루틴은 절약보다 먼저 해야 하는
    돈의 흐름 재정비 과정이에요.

    고정비 → 반복지출 → 카드정리 → 3박스 분류 → 하루 예산
    이 순서만 지켜도
    내 돈이 어디로 새는지 명확하게 보이고
    다음 달 통장은 훨씬 안정됩니다 😊

    오늘 딱 10분만 투자해보세요.
    지출이 보이면, 돈이 모입니다!


    선아언니 꿀팁에서 또 만나요 😊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